양극재 이어 동박·분리막 美 IRA 수혜주 부상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경제백과
- 댓글
- 0건
- 조회
- 232회
- 작성일
- 23-04-04 09:43
본문
한국서 생산한 양극재도 전기차 세액공제 포함…양극재 투자 부담 줄어
중국발 공세 맞이했던 분리막·동박, IRA로 전환점 맞닥뜨려
생산세액공제 항목 주목…공제 한도·부품 포함 여부 등 관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 세부지침 발표에 따라 국내 배터리 업계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극재 기업들에 이어 분리막·전해액·동박 등 소재분야 업체들도 미국 시장에서 지분을 확대할 기회가 커졌다는 관측들이 나오고 있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달 말 전기자동차 배터리 관리 세부 지침 규정안(이하 IRA 가이던스)을 발표했다.
세부조항에 따라 북미에서 생산될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량(PHEV)은 배터리 부품을 북미 현지에서만 50% 이상, 핵심 광물을 북미 및 미국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에서 50% 생산해야만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두가지 항목의 조달 비율은 해마다 단계적으로 상승해 부품은 2029년 100%, 광물은 2027년 80%이 될 전망이다.
특히 광물 조달 요건의 경우 구성 재료(Constituent materials) 개념이 도입되면서 원료 수급 조건이 상당히 완화됐다. 초기 IRA 안에는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원재료를 우려국가인 중국, 러시아에서 수입한 것을 배제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번 지침에서는 중국산 원료라도 북미·미국 FTA체결국에서 이를 구성 재료로 제조한다면, 원산지 기준도 제조지로 인정해주는 것으로 확정됐다.
구성 재료에 포함된 소재는 양극활물질·음극활물질·바인더·집전체(알루미늄박·동박)·전해액 원료(염, 용매, 전해질 첨가제) 등이다.
핵심 광물 조달 요건 확정으로 양극재, 음극재 기업들이 수혜를 보게 됐다. 구성 재료 요건에 따라 한국에서 소재를 생산하더라도 세제 혜택에 포함된 덕분이다. 이로써 현지 투자에 수천억~조단위 금액이 필요했던 양극재 업계에 숨통이 트였다는 평가다.
중국산에 밀리고 있던 동박, 분리막 기업들도 환영하는 모습이다.
동박은 배터리 음극재를 감싸는 구리 집전체다. 국내에서는 SK넥실리스·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구 일진머티리얼즈)·솔루스첨단소재가 이를 생산한다. 이들은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넓고 얇으며 열 전도도가 강한 고품질 제품을 양산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지난해 기대 이상의 실적을 내지 못했다. 러-우크라 전쟁으로 높아진 전력비, 경쟁사인 중국 기업 강세 탓이다. 국내 기업의 고품질 동박은 롱레인지 등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에 주로 적용되고 있지만, 중국 기업 제품이 싼 가격을 바탕으로 범용 전기차 배터리에 주류로 자리 잡고 있어 영역을 확대하지 못했따. K배터리 기업도 하이엔드를 제외한 전기차 배터리에는 중국산을 사용하고 있다.
이번 세부 지침 발표에 따라 국내 동박 기업이 기회를 잡게 됐다. 중국 기업의 미국 진출이 사실상 좌절되면서, 고품질 동박을 생산하는 국내 기업이 북미 시장을 독점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는 분석이다.
분리막 업계도 이번 발표를 시작으로 반등할지 주목된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는 지난해 폴란드 공장의 고정비 문제, 중국 기업 강세로 적자에 시달린 바 있다. 그러다 이번 IRA로 분리막이 '배터리 부품'에 포함되면서 전환점을 맞이했다.
배터리 부품 조달 요건에 따라 북미 현지 투자를 진행한 기업에 한해서만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중국 소재 기업이 미국 진출이 어렵다는 걸 고려해보면, 국내 분리막 기업들이 이를 독점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셈이다.
관건은 투자 대비 위험성이다. 분리막은 동박, 양극재와 달리 북미 생산이 필수적이다. 부품 요건에 따라 50%, 2029년에는 100%를 북미 현지에서 조달해야 해서다. 분리막 사업을 위해서는 대규모 초기 투자 비용은 물론, 공장 운영을 위한 막대한 전력비를 감당해야만 한다. 고정비가 높아 수요가 꺾일 경우 적자로 전환될 위험도 적지 않다.
분리막에 대한 생산세액공제(AMPC)가 주어질 지 여부도 주목할 요소다. 이날 지침에서는 배터리 셀, 모듈 외 소재에 대한 AMPC 항목이 발표되지 않았다.
배터리 소재 업계 관계자는 "아직 AMPC 적용 대상이 밝혀지지 않아 당장 투자를 결정하는 기업은 없을 것"이라며 "만약 AMPC에 공제 한도나 기간이 생기거나 '배터리 부품'에 지정된 소재들이 이를 받지 못하게 된다면, 투자에 따른 불확실성은 더욱 높아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